[ rm - rmdir명령어와 함께 파일, 디렉토리 지우기 ]
- 특정 파일을 강제로 사용하려 하면, -f 옵션을 사용.
- 하부 디렉토리까지 삭제 할 경우라면 -r 옵션을 사용.
- 강제로 하부 디렉토리 포함 삭제를 가능하게 하려면 -rf 옵션을 사용.
- rm명령어 진행과정 출력시 -v옵션을 사용.
*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삭제할 때 사용하며, 해당 파일이나 디렉토리에 대한 삭제 권한이 있어야만 가능하다. 리눅스에서 삭제된 파일은 복구가 거의 불가능하므로 삭제시, 삭제 여부를 묻는 옵션을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. 파일 삭제시 삭제 여부를 물어 오게 하려면, -i 옵션을 적용하고, 이때 y 를 눌러야만 파일이 삭제 될 수 있다.
[ cp - 파일 복사 ]
cp 복사할 파일 복사할 위치
- 내부에 파일을 한꺼번에 복사하려면, 옵션 -r 을 함께 사용해야 한다.
- 파일 속성을 유지하면서 복사하려면, 옵션 -a를 함께 사용한다.
(단, 소유권 문제로 옵션 -a는 일부 파일만 적용된다.)
- 옵션 -i 사용시, 기본적으로 묻지 않고 덮어 써버림.
* 파일 혹은 디렉토리 복사 명령어로 명령어를 수행한 사용자의 소유로 파일이 생성된다.
[ rmdir - rm명령어와 함께 파일, 디렉토리 지우기 ]
* 디렉토리를 삭제할 때 사용한다.
- 삭제할 디렉토리가 존재하여야 하고, 해당 디렉토리 삭제 권한이 있어야 한다.
- 현재 디렉토리에 a 디렉토리가, a디렉토리안에 b디렉토리가, b 디렉토리안에 c디렉토리가 존재 할 때 이 세파일이 존재하지 않을 때 한번에 삭제하려면 -p를 사용하여 -p a/b/c 라고 씀으로써 삭제한다.
[ ls - 디렉토리 내용 보기 ]
-a : 모든 파일 보기
-l : 자세히 보기
-c : 생성시간 순으로 정렬하여 보기
-d : 디렉토리만 보기
-i : 아이노드와 함께 보기
-k : 파일 크기를 KB단위로 표시하기
-t : 변경시간 순으로 정렬해서 보기
-R : 하위 디렉토리의 파일까지 보여주기
-color=yes : 파일 속성에 따라 다른 색상으로 보여주기
* 디렉토리 내의 파일 목록을 보기 위한 명령어로, 이 명령어를 사용 시 파일 속성, 허가권, 하드 링크 수, 소유권, 크기 생성일자 등의 정보가 나타난다. 특정 디렉토리가 포함하고 있는 파일 목록 출력시 ls 명령어에 해당 디렉토리 지정할 수 있다. 점 하나로 포기되는 영역은 현재 디렉토리, 점 두개로 표시되는 영역은 상위 디렉토리이다. 명령어 및 옵션에 대한 도움말은 ls - - help 명령어를 사용하고, 더 자세한 내용은 mas ls 명령어를 이용하여 ls에 대한 맨 페이지 사용한다.
[ mv - 파일 이동이나, 이름 바꾸기 ]
- 이동할 자리에 같은 이름의 파일이 있으면 백업 파일을 생성하려 할때 옵션 -b 를 사용.
- 강제 이동시 옵션 -f 를 사용.
- 이동할 때 확인을 위해 옵션 -i 을 사용.
- 이동할때 갱신을 위해 옵션 - u 를 사용.
- 이동과정 상세 출력을 위해 옵션 - v 를 사용.
* 파일과 디렉토리의 이름을 변경하거나 파일이 놓인 경로를 옮길 때 사용하는 명령어이다.마지막에 명시한 디렉토리로 앞서 지정한 모든 파일과 디렉토리가 옮겨지기 때문에 파일 혹은 디렉토리를 옮길 때 명령어의 제일 마지막에는 반드시 디렉토리가 와야 한다.


댓글 없음:
댓글 쓰기